본문 바로가기
잡학박식

2025 노란봉투법 원문 확인 방법과 주요 내용 안내

by jk_mango 2025. 5. 19.
반응형

 

노란봉투법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제2조와 제3조의 개정을 통해 노동자의 권리를 강화하고, 쟁의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려는 취지로 제안된 법안입니다. 이 법안은 특히 간접고용 노동자와 특수고용노동자 등 기존 법의 보호를 받지 못했던 노동자들에게도 노조 활동의 권리를 보장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노란봉투법의 배경과 명칭의 유래

노란봉투법이라는 명칭은 2014년 쌍용자동차 파업 당시, 법원의 손해배상 판결로 어려움에 처한 노동자들을 돕기 위해 한 시민이 노란색 봉투에 4만7천 원을 넣어 언론사에 전달한 사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후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금 운동으로 확산되었으며, 노동자들의 권리 보호를 위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 노란봉투법의 주요 내용

1. 사용자 개념의 확대

기존 노조법에서는 사용자를 직접적인 고용주로 한정하고 있었으나, 노란봉투법은 실질적으로 노동조건을 지배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자까지 사용자 범위에 포함시키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원청-하청 구조에서 하청 노동자들이 원청과 교섭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려는 취지입니다.

 

 

2. 쟁의행위 대상의 확대

현행법에서는 쟁의행위의 대상을 '근로조건의 결정'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노란봉투법은 이를 '근로조건' 자체로 확대하여, 임금, 해고 등 다양한 근로조건에 대해 쟁의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손해배상 청구의 제한

노조의 쟁의행위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사용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을 제한하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노동자들이 과도한 손해배상 부담으로 인해 정당한 쟁의행위를 주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 노란봉투법의 입법 경과

노란봉투법은 2023년 11월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으나, 같은 해 12월 1일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다시 환송되었습니다. 이후 2024년과 2025년에도 법안이 재발의되었으나, 여전히 국회에서의 논의가 진행 중이며, 법안의 통과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 노란봉투법 원문 확인 방법

노란봉투법의 원문은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또는 '노란봉투법'으로 검색하시면 관련 법안의 원문과 입법 경과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결론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의 권리 보호와 노조 활동의 자유를 확대하려는 취지로 제안된 법안입니다. 그러나 법안의 내용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며, 현재까지 법안이 최종 통과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향후 국회의 논의와 결정을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