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박식

‘선종’ 뜻,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의미 3가지 – 종교·역사·일상 속에서의 쓰임을 설명

by jk_mango 2025. 4. 23.
반응형

 

1. 서론 – ‘선종’이라는 단어, 어디서 어떻게 쓰이고 있나요?

‘선종(善終)’이라는 단어는 최근 뉴스나 방송에서 자주 등장하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 소식이 전해진 이후,

“선종이라는 말은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사망이랑 같은 건가요?”라는 질문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사실 ‘선종’은 단순히 ‘죽음’이나 ‘사망’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종교적·문화적·역사적 깊이를 담고 있는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선종’이라는 단어가 실제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3가지 대표 의미를 중심으로,

각각의 배경과 사용 예시를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2. 첫 번째 의미 – 천주교에서의 ‘선종’ (신앙 안에서의 죽음)

2.1 정의와 맥락

가장 보편적이고 공식적인 의미에서 ‘선종’은 천주교 용어로 사용됩니다.

‘선종(善終)’이란, 신앙 안에서 평화롭게 삶을 마무리하고 하느님 나라로 돌아가는 것을 뜻합니다.

 

즉, 교황, 신부, 수도자, 신자 누구든 신앙의 은총 가운데 덕스럽게 생을 마치는 경우

‘선종하셨다’고 표현합니다.

 

2.2 사용 예시

“교황 프란치스코께서 오늘 새벽 선종하셨습니다.”

 

“김 신부님은 지난 밤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선종하셨습니다.”

 

2.3 특징

단순한 죽음이 아닌, 영혼의 안식을 강조

 

고해성사, 병자성사, 성체를 받은 상태에서 죽음을 맞이한 경우

 

“죽음은 끝이 아닌 하느님 품으로의 귀환”이라는 교리적 해석을 담음

 

📌 따라서 이 표현은 단순히 '사망'이라는 중립적 표현보다 훨씬 경건하고 의미 있는 죽음의 표현으로 쓰입니다.

 

3. 두 번째 의미 – 역사적 문맥에서의 ‘선종’ (존엄 있는 죽음, 임금·성인의 사망)

3.1 조선시대 기록에서의 ‘선종’

‘선종’은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 삼국사기 등 역사기록에서도 자주 등장합니다.

이때의 ‘선종’은 왕이나 신하, 성현 등의 품위 있고 평안한 죽음을 가리킵니다.

 

예시:

 

“세종대왕이 경복궁에서 선종하시다.”

 

“충신 ○○공은 병환으로 집에서 선종하였다.”

 

즉, 이 문맥에서는 높은 인격과 도덕을 지닌 인물이 편안히 죽음을 맞았을 때,

예우와 존경을 담아 ‘선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3.2 동양 전통의 미덕

유교적 가치관에서도 죽음을 미화하거나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善終’은 임종을 준비하는 삶, 즉 유종의 미를 거두는 삶을 강조하는 말로도 사용되며,

"선종유시(善終有始)" – 시작이 바르면 끝도 바르다는 고사성어도 이와 연결됩니다.

4. 세 번째 의미 – 일상 속 고인에 대한 예의 있는 표현 (존경과 품위를 담은 죽음의 표현)

4.1 현대 언론과 사회에서의 쓰임

최근에는 ‘선종’이라는 말이 종교나 왕실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인물의 죽음을 품위 있게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교황, 주교, 신부님 외에도

 

인격적으로 존경받던 종교인, 교육자, 혹은 사회 지도자의 사망을 알릴 때

 

뉴스에서 “선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예시:

 

“○○대주교, 선종… 향년 85세”

 

“노(老) 수도자 ○○, 선종 소식에 추모 이어져”

 

4.2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경향 증가

과거에는 종교 내에서만 쓰였던 단어지만,

이제는 소셜미디어, 장례 안내문, 부고 메시지 등에서

“○○님 선종 소식을 전합니다”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선종’이라는 단어가 죽음을 슬픔과 공포가 아닌, 삶의 품위 있는 마무리로 보는 시선이 점차 퍼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선종’과 혼동되는 단어들과의 차이

 

단어 사용 대상

선종(善終) 착하게 생을 마침 주로 종교인, 성직자, 성현

서거(逝去) 높은 인물의 죽음 정치인, 유명 인사

영면(永眠) 영원히 잠듦 장례식장, 추모 문구

사망(死亡) 생물학적 죽음 가장 일반적·중립적인 표현

📌 ‘선종’은 이 중에서도 가장 경건하고 의미가 깊은 표현으로 인식됩니다.

 

6. 결론 – ‘선종’은 죽음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선종’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사람이 죽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속에는 그 사람이 살아온 삶의 방식,

어떤 신념과 품위를 지키며 생을 마무리했는지,

그리고 우리가 그를 어떻게 기억하고 싶은지에 대한 태도가 담겨 있습니다.

 

정리하면, ‘선종’은 이렇게 활용됩니다:

천주교에서 신앙 안에서의 평화로운 죽음을 의미할 때

 

역사적 인물이나 덕이 높은 인물의 고귀한 죽음을 표현할 때

 

현대 사회에서 존경받는 이의 품위 있는 죽음을 나타낼 때

 

이처럼 ‘선종’은 우리 사회 속에서 죽음을 대하는 자세,

그리고 삶의 마지막을 바라보는 시선을 상징하는 언어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