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O 규정 중심으로, 이닝 및 점수 조건과 아마야구 비교까지 안내드립니다
1. 콜드게임이란 무엇인가요?
콜드게임(Cold Game)은 야구 경기에서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정식 이닝을 모두 마치지 않고도 경기를 조기에 종료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콜드게임은 크게 기상 악화 등 외부 요인에 의한 '강우콜드'와 점수차에 의한 조기 종료(점수 콜드게임)로 나뉩니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점수차에 의한 콜드게임’은 실제로 KBO 프로야구 정규시즌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 KBO 프로야구는 점수차 콜드게임을 하지 않습니다
KBO(한국야구위원회) 리그에서는 정규시즌 경기 중 점수 차가 아무리 많이 나더라도 콜드게임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그 이유는?
프로 스포츠의 특성상 경기의 상품성과 역전 가능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프로야구에서는 9회말 역전극, 대역전쇼가 드물지 않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프로 경기에서는 ‘마지막 이닝까지 팬의 볼 권리를 보장한다’는 의미에서 콜드게임 제도는 도입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외: KBO 올스타전, 퓨처스리그(2군 리그), 아시안게임, WBC, 고교야구에서는 별도의 콜드게임 규정을 둘 수 있습니다.
3. 그럼 콜드게임은 전혀 없나요? – '강우콜드'는 존재합니다
비가 오거나 악천후로 경기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없을 때, KBO는 심판 재량 또는 운영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강우콜드’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강우콜드 성립 조건 (정규시즌)
조건 결과
5회 이상 경기 진행 후 중단 정식 경기 성립 (승패 기록됨)
5회 이전 중단 노게임 (기록 무효, 재경기)
즉, 강우콜드는 점수와 관계없이 ‘진행 이닝’이 핵심이며,
선수 기록이나 팬 환불 여부는 이 이닝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4. 퓨처스리그(2군 리그)는 점수 콜드게임이 존재합니다
KBO 산하 퓨처스리그(2군 경기)에서는 선수 보호와 운영 효율성을 이유로 점수차 콜드게임 규정이 존재합니다.
▶ 퓨처스리그 콜드게임 규정 (2024년 기준)
7회 이후 점수차가 10점 이상일 경우
8회 이후 점수차가 7점 이상일 경우
감독과 심판이 동의하면 콜드게임 선언 가능
단, 이 규정은 퓨처스리그에 한하며, 정규시즌 1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5. 아마야구 및 국제대회 콜드게임 규정은 어떻게 되나요?
고등학교 야구, 대학야구, 국제 대회(WBSC 주관 경기) 등에서는 선수 체력 보호 및 일정 조정을 위해 점수차 콜드게임 규정이 적극적으로 활용됩니다.
▶ 고교야구 콜드게임 기준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기준)
이닝 조건 점수차
5회 종료 15점 차 이상
7회 종료 10점 차 이상
주최 측 또는 대회 규정에 따라 일부 조정 가능
전국체전, 청룡기, 황금사자기 등도 해당 규정 적용
▶ 국제대회 (WBC, 아시안게임 등)
대회 점수차 콜드게임 규정
WBC (월드베이스볼클래식) 5회 15점, 7회 10점 차 콜드게임 적용
WBSC 프리미어12 동일 기준 적용
U-18, U-23 대부분 동일 기준
✅ 이와 같은 규정은 경기 시간 단축, 무의미한 경기 최소화, 선수 체력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
6. 콜드게임이 선언되면 기록은 어떻게 되나요?
▶ 정식 경기로 인정되는 콜드게임 (예: 2군, 국제대회)
기록 인정: 홈런, 안타, 실책, 투수 승패 등 모두 유효
단축 이닝이지만 경기 종료로 간주되므로 승패 포함한 순위 반영 가능
▶ 노게임 (5회 미만 강우콜드 등)
기록 무효: 점수, 안타, 실책, 승패 모두 없던 일로 처리
해당 경기 일정은 추후 재편성되어 처음부터 다시 치러집니다.
7. 프로야구에서 점수차 콜드게임을 도입하지 않는 이유는?
KBO는 과거 몇 차례 ‘점수차 콜드게임 도입 여부’를 검토한 적은 있으나,
결국 프로리그의 역동성과 상품성 보장을 위해 현재까지 도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 주요 이유 정리
팬들의 티켓 가치 보장: 아무리 점수 차가 벌어져도 ‘끝까지 응원할 권리’
역전 가능성: 야구는 투수 교체, 불펜 상황 등으로 9회에 뒤집히는 경우가 많음
스폰서 노출, 중계 시간 확보 등 상업적 가치 고려
전 세계 메이저리그도 점수 콜드게임은 없음
따라서 KBO 리그는 당분간 점수차에 의한 콜드게임 없이, 정식 9이닝을 모두 소화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8. 마무리 – 콜드게임 규정, 프로와 아마야구에서 다릅니다
정리하자면,
KBO 1군 정규시즌에서는 점수차 콜드게임 제도가 없습니다.
2군(퓨처스리그)에서는 7~10점 차 이상의 조건에서 콜드게임 가능
고교야구 및 국제대회에서는 5회 15점, 7회 10점 기준이 일반적
강우콜드는 5회 이닝 기준으로 적용되며, 현재 KBO에서 유일하게 존재하는 콜드게임 제도입니다.
콜드게임 제도는 단순히 점수 차로 경기 종료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야구의 철학과 팬 서비스, 운영 현실이 함께 반영된 규정입니다.
앞으로 야구 경기를 볼 때, 이러한 규정을 알고 계신다면 더 깊이 있고 재미있는 관람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 강우콜드 규정 완벽 정리합니다 (0) | 2025.04.21 |
---|---|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티켓, 응모 마감 이후 구하는 법과 예상 가격은? (0) | 2025.04.18 |
2025 LCK 챌린저스 리그 개막 일정 및 진행 방식 안내 (0) | 2025.04.03 |
QMIT 마케팅팀 브랜드 디자이너 채용 안내 (0) | 2025.03.03 |
QMIT 하이퍼팀 의무 트레이너 채용 안내 – 기술로 스포츠 문화를 혁신하는 기회!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