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문 요약: 내가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얼마일까?
- 급여: 2024년 월급 세전 216만 원, 세후 약 208만 원
- 재산: 논, 집, 예금, 자동차 등 합계 약 1억 2천만 원
- 가족 구성: 미혼, 근로소득 없는 88세 어머니와 2인 가구 생활
- 목표: 2025년 6월 말 지급 예정인 근로장려금 예상 금액 확인
1. 내가 속하는 가구 유형은?
질문자의 경우 어머니와 거주하고 있으나 미혼이며, 어머니는 소득이 없어 근로활동이 없습니다. 이 경우는 "홑벌이 가구"에 해당합니다. 부양가족이 인정되려면 연간 소득 100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어머니가 노령수당만 받는다면 소득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연 소득 기준 충족 여부는?
- 월 세전 216만 원 × 12개월 = 약 2,592만 원
- 홑벌이 가구는 연 소득이 4,000만 원 이하여야 하므로 기준 충족
3. 재산 기준도 충족될까?
- 재산 총액: 약 1억 2천만 원 수준
- 1억 7천만 원 초과 시 감액 구간 적용되지만, 질문자는 해당 없음
※ 감액 구간: 1억 7천만 원 ~ 2억 4천만 원 사이 → 50% 감액
4. 예상 수령금액은 얼마쯤?
2025년 기준 홑벌이 가구의 최대 지급액은 약 260만 원입니다. 다만, 소득이 늘수록 지급액은 줄어듭니다.
연간 소득 구간예상 지급액
2,000만 원 | 약 110만 원 |
2,500만 원 | 약 90만 원 |
3,000만 원 | 약 70만 원 |
→ 질문자는 약 2,592만 원 소득이므로 85만 원~95만 원 내외가 예상됩니다.
5. 지급일과 수령 방법은?
- 지급 시기: 2025년 6월 26일(수) 전후
- 지급 방식: 신청 시 등록한 계좌로 자동 입금
※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신청 내역 및 계좌 확인 가능
6. 주의사항은?
- 어머니가 부양가족으로 인정되지 않을 경우 단독가구로 분류되어 수령액이 대폭 줄어듦 (예: 50만 원 미만)
- 차량 시가, 금융재산까지 포함된 재산평가로 인해 감액 대상이 될 수도 있음
- 실질 지급액은 국세청 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결론 및 요약
질문자의 조건(홑벌이, 2,592만 원 소득, 재산 1억 2천만 원, 부양가족 1명)을 기준으로 보면 2025년 근로장려금은 약 90만 원 내외 지급이 유력합니다.
지급일 전후 홈택스에서 확정 금액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부양가족 및 재산 관련 정보에 오류가 있을 경우 이의신청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잡학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지급액이 줄어든 이유는? 작년보다 소득 차이 없는데 금액이 다른 이유를 분석합니다 (0) | 2025.06.21 |
---|---|
근로장려금 5월 신청자, 지금은 어떤 단계일까? - 지급 시점과 상태별 설명서 (0) | 2025.06.21 |
2025년 근로장려금 6월 26일 지급 예정인데, 정기신청으로 넘어간 걸까요? 사업소득과 근로소득이 혼재된 경우 지급 방식과 기준을 알려드립니다 (0) | 2025.06.20 |
9월에 반기신청한 근로장려금, 소득 없으면 또 받을 수 있을까? 입대 후 지급 여부와 중복 수령 가능성까지 정리합니다 (0) | 2025.06.20 |
조건부수급자도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을까? 게이트웨이 교육 중 ‘심사 중’인 상태라면 받을 가능성은? (0)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