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박식

2025 근로장려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예상 수령금액과 조건 정리

by jk_mango 2025. 6. 21.
반응형

질문 요약: 내가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얼마일까?

  • 급여: 2024년 월급 세전 216만 원, 세후 약 208만 원
  • 재산: 논, 집, 예금, 자동차 등 합계 약 1억 2천만 원
  • 가족 구성: 미혼, 근로소득 없는 88세 어머니와 2인 가구 생활
  • 목표: 2025년 6월 말 지급 예정인 근로장려금 예상 금액 확인


1. 내가 속하는 가구 유형은?

질문자의 경우 어머니와 거주하고 있으나 미혼이며, 어머니는 소득이 없어 근로활동이 없습니다. 이 경우는 "홑벌이 가구"에 해당합니다. 부양가족이 인정되려면 연간 소득 100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어머니가 노령수당만 받는다면 소득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연 소득 기준 충족 여부는?

  • 월 세전 216만 원 × 12개월 = 약 2,592만 원
  • 홑벌이 가구는 연 소득이 4,000만 원 이하여야 하므로 기준 충족

3. 재산 기준도 충족될까?

  • 재산 총액: 약 1억 2천만 원 수준
  • 1억 7천만 원 초과 시 감액 구간 적용되지만, 질문자는 해당 없음

※ 감액 구간: 1억 7천만 원 ~ 2억 4천만 원 사이 → 50% 감액


4. 예상 수령금액은 얼마쯤?

2025년 기준 홑벌이 가구의 최대 지급액은 약 260만 원입니다. 다만, 소득이 늘수록 지급액은 줄어듭니다.

연간 소득 구간예상 지급액

2,000만 원 약 110만 원
2,500만 원 약 90만 원
3,000만 원 약 70만 원

→ 질문자는 약 2,592만 원 소득이므로 85만 원~95만 원 내외가 예상됩니다.


5. 지급일과 수령 방법은?

  • 지급 시기: 2025년 6월 26일(수) 전후
  • 지급 방식: 신청 시 등록한 계좌로 자동 입금

※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신청 내역 및 계좌 확인 가능


6. 주의사항은?

  • 어머니가 부양가족으로 인정되지 않을 경우 단독가구로 분류되어 수령액이 대폭 줄어듦 (예: 50만 원 미만)
  • 차량 시가, 금융재산까지 포함된 재산평가로 인해 감액 대상이 될 수도 있음
  • 실질 지급액은 국세청 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결론 및 요약

질문자의 조건(홑벌이, 2,592만 원 소득, 재산 1억 2천만 원, 부양가족 1명)을 기준으로 보면 2025년 근로장려금은 약 90만 원 내외 지급이 유력합니다.

지급일 전후 홈택스에서 확정 금액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부양가족 및 재산 관련 정보에 오류가 있을 경우 이의신청도 가능합니다.

반응형